충북농기원, 김장배추‘무름병’예방 방제 당부!

  • 등록 2021.10.18 07:30:27
크게보기

비 오기 전, 후 무름병 전용약제 살포해야 피해 최소화

 

전국연합뉴스 최상호 기자 | 충북농업기술원은 최근 배추에 무름병, 검은무늬병 등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병해충 방제 및 재배 관리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


충북지역 배추 주산단지인 청주와 괴산지역에서는 지난해 무름병 발생은 1% 이내로 매우 낮았으나, 금년도에는 11.5%로 전년대비 11.5배 많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는 청주가 12.3%, 괴산이 10.6% 순으로 나타났다.


배추 무름병 발생의 주된 원인은 잦은 강우로 배추 정식 후 9월 상순부터 10월 상순까지 전년대비 평균기온은 1.9℃ 높았고 강수량도 1.8mm 많아 무름병균이 생육하기에 좋은 조건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배추 무름병은 충북지역에서 대체로 9월 중하순부터 발생이 시작되며, 발생이 되면 배춧잎 밑둥이 초기에는 수침상의 반점으로 나타나고 이후 점차 잎 위쪽으로 갈색이나 회갈색으로 변하면서 썩기 시작한다.


감염 부위는 무르고 악취가 나며. 병원균은 병든 식물의 잔재나 토양속에서 존재하다가 이듬해 병을 일으킨다.


무름병 발생 포장은 병원균이 토양에 오랫동안 생존하기 때문에 벼과나 콩과 작물로 2~3년 동안 돌려짓기를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배추 생육시기에는 배수와 통풍이 잘 되도록 기술적 조치도 필요하다.


방제 방법은 적용약제를 구입하여 7~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하며, 수확 전 안전 사용회수와 사용가능 시기를 철저히 고려해야 한다.


도 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박영욱 박사는 “김장배추가 한창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 잦은 강우로 인해 무름병이 발생되고 있는 양상이다.”라며, “배추재배 농가에서는 포장 상태를 확인하신 후 전용약제 살포로 피해가 나타나지 않도록 방제할 것을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최상호 기자 csh2263@hanmail.net
저작권자 © 전국통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국통합뉴스 본사 | 대전광역시 서구 관저로 37(관저동) 전국통합뉴스 충북본부 | 충남본부ㅣ충남 예산군 예산읍 임성로 26 등록번호:대전, 아00395 | 등록일:2021.08.09 발행인: 김미리 ㅣ 편집인: 이승주 | 전화번호: 010-7762-9210 저작권자 © 전국통합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